Log.d를 입력하면 Log객체를 사용하기 위해 자동으로 import 되는 것을 볼 수 있다. (in Kotlin)
tag 로 Logcat에서 검색할 tag 이름 지정 (life_cycle) 후, 확인할 메시지 입력("onCreate")
- 보통 태그이름은 현재 클래스 이름 사용 많이 함
- 태그 길이가 23자를 넘으면 출력시 잘림
제대로 실행되는지 확인하기 위해 각각 Log.d 값 입력
1. onCreate
2. onStart
3. onResume
4. onPause
5. onStop
6, onDestroy
[Logcat] 확인
아까 지정한 tag 이름인 life_cycle 검색
애뮬레이터 실행 시,
onCreate -> onStart -> onResume 까지 확인된다.
어플을 종료시키면
onPause -> onStop -> onDestroy 확인가능.
'Andorid' 카테고리의 다른 글
기타) activity에서 id 인식 해결 (0) | 2021.02.02 |
---|---|
Manifest in 안드로이드 스튜디오 (3) 속성 (0) | 2021.01.30 |
< Fragment > in Android (0) | 2021.01.30 |
Palette Component in Android (6) Helpers, Google, Legacy (0) | 2021.01.30 |
Palette Component in Android (5) Containers (0) | 2021.01.30 |